파이썬1
숫자형
-정수형
-실수형
-연산자
**연산자= x의 y제곱
%연산자= 나눗셈 후 나머지
//연산자= 나눗셈 후 몫
복합연산자
+=, -=, *=, /=, //=, %=, **=
ex) a=1
a= a+1 , a+=1 같음
문자열
문자열을 만드는 방법
1. 큰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
2. 작은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
3. 큰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양쪽둘러싸기
ex) """suyeon"""
4. 작은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양쪽둘러싸기
ex) '''jeong'''
이스케이프코드
프로그래밍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해 둔 문자조합, 출력물을 보기 좋게 정렬하는 용도로 사용
\n :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
\t :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
\\ : \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
\' : 작은따옴표(')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
\" : 큰따옴표(")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
\r : 캐리지 리턴(줄 바꿈 문자, 커서를 현재 줄의 가장 앞으로 이동)
\f : 폼 피드(줄 바꿈 문자, 커서를 현재 줄의 다음 줄로 이동)
\a : 벨소리(출력할 때 PC스피커에서 '삑' 소리가 남)
\b : 백스페이스
\000 : 널문자
*활용도가 높은 코드는 \n, \t, \\, \', \"
문자열 연산
문자열 더해서 연결
ex) head= "su"
tail= "yeon"
head+ tail
"suyeon"
문자열 곱하기
ex)
a="su"
a+2
"susu"
문자열 길이
ex)
a="suyeon"
len(a)
6
문자열 인덱싱
ex)
a="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"
a[3]
'e'
*파이썬은 0부터 숫자를 센다
문자열 슬라이싱
ex)
b= a[0]+a[1]+a[2]+a[3]
b
'Life'
a[0:5]
'Life '
포맷코드
-정렬과 공백
ex)
"%10s" % "hi"
' hi'
*%10s : 전체 길이가 10개인 문자열 공간에서 대입되는 값을 오른쪽으로 정렬하고 그 앞의 나머지는 공백으로 남겨두라는 의미
왼쪽 정렬은 %-10s
-소수점 표현
ex)
"%0.4f" % 1.23412341234
'1.2341'
* %0.4f에서 '.'는 수소점 포인트 그 뒤의 숫자 4는 소수점 뒤에 나올 숫자의 개수를 말한다.
소수점 포인트 앞의 숫자는 문자열의 전체 길이를 의미하는데, %0.4f에서 사용한 숫자 0은 길이에 상관하지 않겠다는 의미임
* %0.4f는 0을 생략하여 %.4f처럼 사용하기도 함